랩소개
C'est La Vie 는 프랑스어로 '인생이야'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. 개발하다가 오류가 발생했을때 긍정적으로 넘어가고자 팀 명을 정했습니다. 팀원은 모두 챗봇과 자연어 처리 분야에 관심이 많으시고 각기 다른 분야에서 수준있으신 분들이셔서 서로간에 격차를 좁히는것을 첫번째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.
연구원 소개
이준호 / 랩장 : 컴퓨터 공학을 전공했으며, 인공지능 분야에 발을 들인지는 오래되지 않았지만, 챗봇의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꿈꾸면서, 궁극적으로 챗봇에 다양한 센서를 통하여 감각을 부여해보고 싶습니다.
김유상 / 연구원 : 전산학 전공이며 음성인식&챗봇 관련 기업에서 스마트 팩토리 관련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. 차후과제로 현재 회사에서 쓰고 있는 시나리오 기반의 챗봇보다 더 자연스러운 챗봇을 개발하고자 이번 연구 모임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. 같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협동하여 좋은 결과물을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.
홍석준 / 연구원 : 과거에는 대기업 전략기획실에서 근무하였고, 현재 데이터 사이언티스트로 업종을 전환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습니다. Python, Java를 활용해서 영화 후기에 대한 감성 분석, 토픽 분석을 진행하고 웹으로 서비스해본 적 있고, 더 제대로 공부해 보기 위해 참석하게 되었습니다. 함께 자연어 처리에 대해 더 깊게 공부하고, 챗봇을 직접 구현하면서 서로 성장할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이라 기대합니다.
유원준 / 연구원 : 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현재 IT 회사 연구소에서 클라우드 솔루션 개발자로 근무 중인 유원준입니다. 아직 사회 초년생이라 배울게 많지만, 주 언어를 파이썬으로 딥 러닝과 자연어 처리를 공부 중에, 좀 더 깊이 공부해보고 싶다는 생각에 참여하게 되었습니다. 열심히 노력해서 좋은 성과 얻어갈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.
김설호 / 연구원 : 대학교에서 산업공학과 소프트웨어융합공학을 전공하고있고, 동시에 스타트업에서 머신러닝 엔지니어일을 하고있습니다. 비트코인 오토 트레이딩 봇을 제작하며, 머신러닝에 대해 관심을 가졌었고, 지금까지 GAN, 강화학습 등 폭넓은 분야에서 많은 연구와 성과를 이루어 왔습니다. 이번엔 챗봇에 끌려 이 곳 까지 오게되었고, 뜻 맞는 분들과 함께 재밌는 프로젝트를 맡게된 것 같아 영광이라고 생각합니다.
이재성 / 연구원 : 대학교에서 법학을 전공하고 게임 기획자 및 시나리오 작가로 일했습니다. Unity3d 기반의 게임과 어플리케이션을 출시해본 경험을 통해 인공지능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. 현재는 신문사에서 데이터 저널리스트로 근무하고 있으며 자연어 처리를 통한 문서 변환에 큰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.
김대규 / 연구원 : 컴퓨터공학을 전공하고 현재 인공지능개발실 챗봇팀에서 근무하고 있습니다. 주 업무는 웹 개발과 워드임베딩을 맡고 있습니다. 한국인공지능연구소를 통해 챗봇과 자연어처리에 대한 여러가지 최신기술을 공유 및 연구해보고 싶습니다.
자기소개는 자료 도착과 동시에 업로드 할 예정입니다.
활동계획
'챗봇 엔진'을 구축하기 위하여 개인간의 실력격차를 좁히고자 스터디를 통하여 연구원 사이의 격차를 좁히고, 엔진의 형태와 주제를 논하기로 하였습니다.